클라우드 8

AWS Route 53, Lambda란?

Route 53 -먼저 Route 53이란 가용성과 확장성이 뛰어난 DNS(도메인 이름 시스템) 웹 서비스이다. Route 53을 사용하여 세 가지 주요 기능, 즉 도메인 등록, DNS 라우팅, 상태 확인을 조합하여 실행할 수 있다. Route 53의 라우팅 정책 1) 단순 라우팅 정책 – 특별한 기능(가중치, 지연시간 등)을 제공하지 않으며, 단일 리소스(서버, 로드밸런서 등)으로 트래픽을 라우팅 한다.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정책이자 보통 DNS에서 레코드를 등록하는 방법과 거의 동일하다. 2) 가중치 기반 라우팅 정책 – 하나의 레코드에서 각각의 리소스로 라우팅되는 비율을 지정하여 설정 가능한 것이다. 3) 지리적 위치 라우팅 정책 –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라우팅할 리소스를 지정할 수 있..

클라우드/AWS 2024.04.01

AWS DB, 관계형,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두 가지의 데이터 저장방법이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또는 SQL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행과 열이 있는 테이블 형식으로 저장한다. 열에는 데이터 속성이 포함되고 행에는 데이터 값이 있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을 연결하여 다양한 데이터 포인트 간의 상호 연결에 대한 심층적인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다. 반면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또는 NoSQL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에 액세스하고 관리하기 위해 다양한 데이터 모델을 사용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큰 데이터 볼륨, 짧은 지연 시간과 유연한 데이터 모델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에 특히 최적화되었으며, 이는 다른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일관성 제한 ..

클라우드/AWS 2024.04.01

VPC Endpoint란?

VPC EndPoint란? 먼저 Endpoint란 요청을 보낼 때 필요한 목적지이다. 어떠한 서비스나 리소스로 접근할 때 특정 URL이나 네트워크 주소가 될 수 있다. VPC Endpoint는 Endpoint 유형 중 하나로, VPC Endpoint를 사용하면 VPC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AWS 서비스들과 통신할 때 인터넷 통신이 되지 않더라도 Private한 통신 환경을 통해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내가 실습하는 환경에서는 Private노드에 NAT 게이트웨이가 없어 통신이 되지않더라도 프라이빗노드에서 Endpoint를 통해 퍼블릭노드에 있는 s3 버킷에 접근할 수 있다는 가정이다. VPC Endpoint 종류에는 3가지가 존재한다 Interface Endpoint, Gateway endp..

클라우드/AWS 2024.03.29

로드 밸런서(ELB), 오토 스케일링(ASG) 실습

로드밸런서(ELB), 오토 스케일링(ASG)을 실습 다음과 같은 환경을 구성하는 실습을 할 것이다. VPC는 기존에 만들어 두었던 MyVPC를 사용할 것이며 이번 실습에선 로드밸런서와 오토 스케일링을 사용하는 과정이다. 1. 먼저 보안그룹을 SGALB, SGAPP로 2개 만든다. - 다음과 같이 인바운드 규칙에 HTTP포트를 넣어주고 아무나 접근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이거와 같이 SGAPP도 똑같이 생성해주는데, 여기서 인바운드 규칙에서 접근 가능한 소스 정보를 앞서 생성한 보안규칙 SGALB로 설정해준다. 이 뜻은, SGALB를 거쳐 통과한 사용자만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이다. 2. 보안그룹을 설정 했으면 다음으로 로드 밸런서 대상그룹을 생성해준다. 먼저 기본 구성에 요청 대상을 인스턴스로 선택한다. ..

클라우드/AWS 2024.03.29

S3, iAM 실습

1) 정적 웹사이트 호스팅 및 버전관리 ( S3의 웹서버 기능 ) 먼저 앞 실습에서 했던 것 과 같이 아무 설정도 건드리지 않은 버킷을 하나 만들어 준 후, index.html이란 파일을 하나 업로드 해준다. 그 후, 정적 웹사이트 호스팅의 디폴트 값으로 비활성화 되어있는데, 활성화로 바꾸어준 다음 인덱스 문서를 index.html로 설정해준다. 그러면 정적 웹 사이트 호스팅에 주소가 생기게 된다. 하지만 url을 통해 접근했을 때, 권한이 없기 때문에 홈페이지가 나오지는 않는다. 그렇기에 권한 설정을 위해 모든 퍼블릭 액세스 차단의 체크를 해제해 준 뒤, 버킷정책으로 들어가서 정책 생성기를 눌러준다. 정책 생성기를 누르면, 다음과 같이 홈페이지가 나오는데 여기서 type에 s3를 선택해주고, princ..

클라우드/AWS 2024.03.28

IAM, S3 실습 및 개념

EC2 서버를 생성할 때 키페어를 생성한다. 다음과 같이 키페어를 생성하게 되면 [파일명].pem 이라는 키가 생성된다. 그 후, Git bash로 ssh –i [key파일] ec2-user@ec2할당IP로 접속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생성한 EC2 서버에 추가 스토리지를 생성해 연결하는 과정이다. 스토리지인 EBS 유형을 선택하고 크기와 iops, 처리량, 가용영역을 선택해준 뒤 생성해준다. 완료하면 다음과 같이 생성이 될 것이고, 이 것을 사용 가능한 상태라고 나오면 인스턴스와 연결해준다. 디바이스 이름에는 여러 유형들이 있는데 /dev/sdf로 설정해준다. 연결한 후에, 앞서 ec2 인스턴스와 연결했던 git bash 창을 켜 df –k를 통해 확인할 수 스토리지에서 파일을 생성하고 폴더를 생성할 수..

클라우드/AWS 2024.03.27

VPC 생성 (AWS 네트워크 구성)

- 다음과 같은 환경을 구축한다. 1.먼저 VPC를 다음과 같이 생성한다. VPC 등으로 설치하면 서브넷과 인터넷게이트 등 자동으로 구성이 되기 때문에 공부의 목적으로 VPC만을 선택하여 설치한다. 이름은 MyVPC2로 하고, IPv4를 10.0.0.0/16으로 적는다. 2. VPC를 생성했으면 다음으로 서브넷을 생성해준다. 각각, MyPubSub1-1,2-1, MyPriSub1-1,2-1로 각각 만들어준다. 각각의 IP는 처음 구성하려던 그림과 같이 구성한다. 먼저, 앞서 생성한 VPC 안에 서브넷을 생성할 것이기 때문에 MyVPC2를 선택해준다. 다음으로 이름, 가용영역, IP를 적어준 후, 서브넷을 생성한다. 똑같이 퍼블릭과, 프라이빗 2개씩 만들어준다. 3. 인터넷 게이트웨이를 만들어주고 라우팅테..

클라우드/AWS 2024.03.26

AWS, EC2란?

1. AWS란? AWS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의 하나이다, 아마존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로, 네트워킹을 기반으로 가상 컴퓨터와 스토리지, 네트워크 인프라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아마존의 모든 서비스는 API 중심으로 설계되어 있어 모든 기능이 API로 제어가 가능하다. 2.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이란?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기존의 물리적인 형태의 실물 컴퓨팅 리소르를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것이다. 쉽게 말하면 서버 및 네트워크 등을 인터넷으로 빌려주는 서비스로, 언제 어디서든지 사용할 수 있다. 즉, 클라우드를 통해 서버,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등 필요한 IT 자원을 제공하는 것을 뜻한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가장 큰 장점으로 여러 가지 존재한다. 1)..

클라우드/AWS 2024.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