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적 웹사이트 호스팅 및 버전관리 ( S3의 웹서버 기능 )
먼저 앞 실습에서 했던 것 과 같이 아무 설정도 건드리지 않은 버킷을 하나 만들어 준 후, index.html이란 파일을 하나 업로드 해준다.
그 후, 정적 웹사이트 호스팅의 디폴트 값으로 비활성화 되어있는데, 활성화로 바꾸어준 다음 인덱스 문서를 index.html로 설정해준다.
그러면 정적 웹 사이트 호스팅에 주소가 생기게 된다. 하지만 url을 통해 접근했을 때, 권한이 없기 때문에 홈페이지가 나오지는 않는다.
그렇기에 권한 설정을 위해 모든 퍼블릭 액세스 차단의 체크를 해제해 준 뒤, 버킷정책으로 들어가서 정책 생성기를 눌러준다.
정책 생성기를 누르면, 다음과 같이 홈페이지가 나오는데 여기서 type에 s3를 선택해주고, principal은 접근대상이므로 우리는 모든 대상에 대해 허용할 것이므로 *로 적어준다음 action도 all action에 체크해준다. 마지막으로 ARN에는 위의 버킷 ARN을 복사해서 넣어주면 된다.
정책이 생성이되면 다음과 같이 JSON 문서의 형태로 나오는데 이것을 앞에 정책 편집창에 붙혀넣기를 통해 넣어주면 완료된다.
다음과 같이 접근이 되지않았던 객체 URL에 접근을 할 수 있다.
2) 버전 관리
버전 관리는 객체의 여러 버전을 동일한 버킷에서 관리하기 위한 수단으로, 버전 관리를 사용하여 Amazon S3 버킷에 저장된 모든 객체의 각 버전을 보존, 검색 및 복원할 수 있다. 버전 관리를 통해 의도치 않은 사용자 작업과 애플리케이션 장애를 복구할 수 있다.
- 버전 관리를 활성화 해주고 앞서 생성한 index.html을 삭제해주면 다음과 같이 버전 표시를 눌렀을 때, 삭제 마커가 나오는데 이것을 삭제하게 되면 index.html이 복구 되는것을 확인 할 수 있다.
3. 오토 스케일링
-오토스케일링이란?
오토스케일링(Auto Scaling)은 클라우드의 유연성을 돋보이게 하는 핵심기술로 CPU, 메모리, 디스크, 네트워크 트래픽과 같은 시스템 자원들의 메트릭(Metric) 값을 모니터링하여 서버 사이즈를 자동으로 조절 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4. IAM CLI 접근
먼저 AWSS3fullaccess 권한이 주어진 사용자 계정을 하나 만들고 액세스 키를 발급받는다.
그런 후에 git bash나 cmd와 같은 CLI를 통해 aws에 접근하여 cli 액세스 키와 비밀키를 입력한 다음, s3에 대한 작업을 진행한다.
'클라우드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VPC Endpoint란? (0) | 2024.03.29 |
---|---|
로드 밸런서(ELB), 오토 스케일링(ASG) 실습 (0) | 2024.03.29 |
IAM, S3 실습 및 개념 (0) | 2024.03.27 |
VPC 생성 (AWS 네트워크 구성) (0) | 2024.03.26 |
AWS, EC2란? (0) | 2024.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