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음과 같은 환경을 구축한다.
1.먼저 VPC를 다음과 같이 생성한다. VPC 등으로 설치하면 서브넷과 인터넷게이트 등 자동으로 구성이 되기 때문에 공부의 목적으로 VPC만을 선택하여 설치한다. 이름은 MyVPC2로 하고, IPv4를 10.0.0.0/16으로 적는다.
2. VPC를 생성했으면 다음으로 서브넷을 생성해준다. 각각, MyPubSub1-1,2-1, MyPriSub1-1,2-1로 각각 만들어준다. 각각의 IP는 처음 구성하려던 그림과 같이 구성한다.
먼저, 앞서 생성한 VPC 안에 서브넷을 생성할 것이기 때문에 MyVPC2를 선택해준다.
다음으로 이름, 가용영역, IP를 적어준 후, 서브넷을 생성한다. 똑같이 퍼블릭과, 프라이빗 2개씩 만들어준다.
3. 인터넷 게이트웨이를 만들어주고 라우팅테이블을 만든다.
먼저 인터넷 게이트웨이를 만들어주고 Detached 되있는 것을 앞서만든 VPC에 연결해준다.
그 후, 라우팅 테이블을 PubRT2, PriRT2로 생성
생성이 완료되었으면 먼저 PubRT2의 라우팅에 다음과 같이 0.0.0.0/0 과 앞서 만들어준 인터넷 게이트웨이를 선택해 라우팅을 추가해준다.
그 후, 만든 서브넷 중 pub만 선택해 연결해준다.
4. NAT 게이트웨이를 생성해 EIP를 생성하고 나머지 Pri를 똑같이 연결해준다. 차이점은 라우팅을 추가할 때 인터넷 게이트웨이를 선택하는 것이 아닌, NAT 게이트웨이를 선택해야 한다.
다음과 같이 생성한다.
완성된 VPC를 리소스맵을 통해서 확인하면 다음과 같다.
6. 이 vpc안에 PubSub에 Webserver(EC2)를 배포해보자.
EC2를 생성하는 과정은 앞서 EC2를 생성하는 실습과 동일하지만, VPC를 설정해주는 과정이 다르며, USER DATA에 원하는 스크립트를 작성해서 생성하고, 보안그룹 또한 설정해준다.
다음과 같이 보안그룹과 네트워크를 설정해준 다음, 고급세부정보에서 User Data에 다음과 같이 입력해주고, 퍼블릭 IP도 활성화 해야한다.
다음과 같이 입력하고 할당된 IP로 주소를 입력해 들어가게 되면 USER DATA에 작성한 echo 부분이 나오는 홈페이지를 볼 수 있다.
'클라우드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VPC Endpoint란? (0) | 2024.03.29 |
---|---|
로드 밸런서(ELB), 오토 스케일링(ASG) 실습 (0) | 2024.03.29 |
S3, iAM 실습 (0) | 2024.03.28 |
IAM, S3 실습 및 개념 (0) | 2024.03.27 |
AWS, EC2란? (0) | 2024.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