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리케이션 보안
칼리리눅스를 통한 도커실습2( 로드밸런싱 )
잼M
2024. 6. 1. 15:13
이번엔 컨테이너를 이용해 로드밸런싱을 하는 실습이다.
먼저, 로드밸런싱 역할을 해줄 서버를 구축하기 위해 칼리리눅스에 nginx를 설치 후 conf 파일을 다음과 같이 수정한다.
다음 파일을 설정해줌으로써 접속을 8001번 포트, 8002번 포트, 8003번 포트로 트래픽을 균등하게 나누어줄 것이다.
다음으로 수행해야 할 것은
1) 볼륨 3개 만들기
2) 네트워크 대역 3개 만들기
3) 3개의 웹서버에 볼륨과 네트워크를 연결하기
4) 로드밸런싱을 구축하여, 웹 서버 3개에 분배하기
를 진행할 것이다.
i) 볼륨 3개 만들기
ii) 네트워크 대역 3개 만들기
iii) 3개의 웹서버에 볼륨과 네트워크를 연결하기
IV) 생성된 볼륨에 접근 해 index.html 페이지를 지우고 새로 생성
다음과 같이 web01,02,03의 index페이지를 알아볼 수 있도록 바꾼 뒤, 로드밸런싱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웹홈페이지에 접속해서 확인해보면
정상적으로 192.168.5.132에 대한 트래픽이 나눠 전송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앞서 conf 설정에서
다음 부분의 설정을 통해 트래픽이 가는 비중을 조절 할 수 있다.